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떤 것이 궁금한지

도메인 (IP 주소에 매핑되는 텍스트 문자열) 대신에 IP 주소에 직접 SSL 인증서를 적용하여 배포할 수 있는가.

왜 궁금한지

  • 많은 사이트들이 회사 브랜드명으로 도메인을 갖고 있는데 사내 메일로 IP로 배포되고 HTTPS인 웹사이트를 보았고 도메인이 아닌데 HTTPS 적용이 되어 있는 게 궁금하였다.
  • 기존에 IP 도메인으로만 배포하는 경우를 보지 못해서 권장되지 않는구나라고 판단을 했는데, HTTPS://123.123.123.123 같은 도메인을 보니 HTTPS가 어쨌든 보안을 위한 것인데 왜 IP가 아닌 도메인만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SSL 인증서 사는 게 힘든 건가?

Yes, 불가능한 게 아니라 발급해주는 곳을 찾기 힘들다는 것! 기본적으로 도메인이 있는 것을 기반으로 SSL 인증서를 판매하는 서비스가 많기 때문이다.

IP에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규정, 조건 및 제한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IP 주소에 SSL 인증서 적용하기 위한 요구사항 및 제한사항

  1. 유효한 IP 주소:
    • SSL 인증서를 적용할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여야 합니다. 사설 IP 주소는 SSL 인증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2. OV (조직 검증):
    • 조직의 신원을 확인하는 복잡한 절차입니다.
  3. IP 소유권 증명:
    • IP 주소에 대한 SSL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해당 IP 주소를 소유하거나 제어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 토큰 생성 및 호스팅:
      • 웹사이트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랜덤 문자열로 구성된 토큰이 포함된 `.txt` 파일을 호스팅해야 합니다. 이 파일은 인증서 발급 기관에서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생성됩니다.
    • 파일 기반 토큰 DCV:
      • IP SSL 주문을 제출한 후, 인증서 발급 기관에서 제공하는 토큰과 지침에 따라 해당 파일을 웹 서버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IP 주소의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 검증 완료:
      • 인증서 발급 기관이 해당 파일을 확인한 후, IP 주소에 대한 SSL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이러한 IP 주소로 배포한 웹사이트는 내부 공유가 목적이기에 잘 접해보지 못했던 것이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