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 기하급수적으로 변하고 있다. 기획할 때 본인이 직접 사용할 앱을 만들어라. 본인도 쓰지 않을 것을 누가 쓸까? 왜 코딩이 시대적 화두인가? 코딩의 중요성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닌 생각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교육이기때문이다. 컴퓨터는 두서없이 말하거나 정확하지 않게 말하면 알아듣지 못한다. 살면서 우리는 여러가지 생각을 하면서 사는데 이러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말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코딩을 통해서 자기 생각을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시스템 컴퓨팅 사고력과 알고리즘 정해지지 않은 해답을 일반화하는 과정 추상화 : 데이터, 정보, 지식을 어떻게 표현할지 알고리즘 설계 : 문제, 업무를 하는 데 있어서 순서를 정하는 것 문..

문제 해결의 성취감을 느껴야 한다. 내가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하면서 자기 주도적인 공부와 부족함을 채워가며 성취감을 얻으며 더 깊게 공부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 만약 없다면 직접 만들고 운영해보자 생각하는 것만큼 어렵지 않고 힘든 순간도 있지만 노력에 비해 얻는 것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추천한다.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성장하고 싶은 간절함이 있다면 직접 해라 커뮤니티 이름 짓는 방법 : SLPiPP : 지속 가능한 삶,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머를 줄인 것 나도 독서관련 프로젝트 만들 때 이런 식으로 정하자 시도한다는 것은 실패를 전제로 하는 행동이다. 그리고 실패를 통해 학습하고 개선할 점을 찾는 것이다. 빠르게 시도하고 빠르게 실패하고 실패를 통해 학습하고 개선하는 것이 기..
UI는 직관성, 유효성, 학습성, 유연성이 중요함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해야 함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함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해야 함 ex) 지역 입력을 받는다면 사용자가 오타를 낼 수도 있으니 값들을 미리 제공하면 서로 좋다. 이렇게 UI는 사용자의 사용성, 접근성, 편의성을 중요시해서 설계해야 한다. UX UX는 사용자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인 경험이다. UX는 UI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이나 감정을 중요시하는데 주관적이기 때문에 본질(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을 상기하며 잘 설계해야 한다.

사이트맵 목차 같은 역할을 한다. 와이어 프레임 한 화면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작업. 목업 와이어 프레임보다 실제 화면에 유사하게 디자인을 적용해서 만든 정적 모형 프로토타입 목업에서 동적인 기능이 추가된 동적 모형 실제 구현된 것처럼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단시간에 구현 가능해서 사용자 경험에 대해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스토리보드 디자이너/개발자가 참고하는 최종적인 산출문서 정책, 프로세스, 구성, 와이어프레임, 기능 정의 DB 연동등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모든 정보가 담겨있는 문서 현업에서는 해당 문서를 바탕으로 소통한다. 플로우 차트 UI의 이벤트에 따른 흐름을 차트로 나타낸 모형 와이어프레임 작업 후 목업을 만들어서 스토리보드로 연결하는 식으로 UI 작업을 계획 및 진행할 것이다 참고로 저와 ..

Zoom IT다운로드 링크사용방법 화면 확대 : Ctrl + 1취소는 ESC 또는 Ctrl + F1마우스 휠로 확대 축소 가능좌 클릭하면 화면 고정됨화면에 그림 그리기 : Ctrl + 2타이머 기능 : Ctrl + 3방향키 위아래로 조절 가능자동으로 10분을 재는 타이머가 생긴다.돋보기 : Ctrl + 4취소도 Ctrl + F4alwaysOnTopCSS에서 z-index값이 높게 설정된 것처럼항상 다른 프로그램들보다 위에 나타나게 한다.실시간 zoom 수업을 들으면서 교수님께서 카톡을 활용하시는데항상 카톡이 뒤로 밀리는 것이 싫었고 다른 프로그램들보다 위에 떴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찾게 됨계속 추가할 예정...
self-efficacy : 자신이 맡은 특정한 직무를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개인의 믿음나의 능력을 의심하지 않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세어떠한 상황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식하는 것자신이 맡은 특정한 직무를 잘 해낼수 있을 것이라는 개인의 믿음나는 할 수 있다. 자기 효능감이 높을 수록 성공의 길에 안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낮을수록 쉽게 단념하고 무기력해지는 등 성공의 길에서 멀어진다. 자존감과는 다르게 특정 과업이나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역량이라고도 불린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내재적 동기부여성향이 높다. 자기효능감 4가지 증진 방안 성공적 경험(직접 경험)효과적으로 직무를 수행해본 경험을 통해 그 특정한 일에 대해서 높은 자기 효능감을 가질 수 있다.도전적인 직무..

저는 군대를 전역하고 2년 동안 운동(헬스)과 프로그래밍 공부, 프로젝트, 독서를 하면서 사람도 안 만나고 자기개발만 하였습니다. 그때 했던 생각은이제는 생각없이 하루를 보내지 말고 알차게 하루를 보내야지!다른 사람들보다 더 하루를 알차게 살아야지!너네가 놀 때 나는 자기개발해서 엄청난 사람이 될 거야!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살던 와중 "결국 자기 계발의 시대가 끝나버렸다."라는 제목을 보고 무슨 이런 황당한 제목이 다 있나 싶어서 10분 정도 되는 영상을 보았습니다. 아마 이 영상을 보지 못했다면 계속해서 의미 없는 자기 계발만 하며 시간을 보냈을 것입니다. 이 영상에서 말하는 것은 1. 나는 남들보다 나은 사람이라는 오만에 빠져 책을 읽는 것일 수도 있다.2. 자기개발을 해서 기분은 잠깐 좋아지지만 ..

노션을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을 적어볼게요저는 노션을 알기 전에는 메모장에 공부한 거 정리하고 그랬는데 지금은 노션을 만나 아주 행복하게 살고 있답니다.노션을 안 것이 제 공부 삶의 터닝포인트라고 생각할 정도입니다제가 애용하는 것들을 알려드릴게요페이지 제어cmd/ctrl + n을 누르면 새 페이지를 만듭니다cmd/ctrl + shift + n을 누르거나 cmd/ctrl + 클릭 으로 새 Notion 창을 엽니다.cmd/ctrl + [을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cmd/ctrl + ]을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cmd/ctrl + shift + l을 누르면 다크 모드로 전환합니다(숫자 1이 아니라 L입니다)리스트 만들기* 나 -, + 다음에 space를 입력하면 글머리 기호 목록을 만듭니다.1..
- IP
- Typescript
- styled component
- 선언적 프로그래밍
- SSG
- base64
- editor
- NextJS
- 노션
- s3
- HTTP
- Next
- 도메인
- 브라우저
- 궁금증
- CSR
- server
- 웹 접근성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 프론트엔드
- 성능최적화
- Proxy
- https
- Next.js
- lazyloading
- toast
- React
- SSR
- 철학
- Section
- Total
- Today
- Yesterd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